인권과 인식


94개 (10/10페이지) rss

[재활치료] 현재까지 자폐성 장애의 치료와 교육에 대해 알려진 사실들(번역)

Post Image *이 글은https://www.psychologytoday.com/basics/autism/autism-treatments​의 글을 의역한 것입니다.자폐를 위한 한 가지 특정 치료법은 없습니다. 즉, 한 가지 치료 프로그램만으로 자폐아를 치료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조기 중재가 효과적이며, 엄격하게 구조화된 언어와 의사소통, 인지, 행동치료들은 자폐아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들을 학습시키는데 도움이 많이 될 수 있지...   내용 보기

다운증후군 아기와 아빠의 아침

Post Image 다운증후군 아기를 돌보는 어느 아빠의 오전 일과를 타임랩스 기법으로 촬영한 영상입니다. 아빠의 사랑이 그대로 전해지는 영상입니다.   내용 보기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말의 위험성

Post Image '최소 위험 추정의 원칙' 이란? 김OO는 지적장애 1급의 진단을 받은 16살의 여학생이다. 지능검사에서는 IQ 측정이 불가능한 상황이었고, 적응행동 검사상의 프로파일에서는 발달연령이 36개월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녀는 간질과 감각처리장애도 가지고 있다. 가끔 경련을 보일 때가 있으며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안되어 손으로 세밀한 동작을 하기 어렵다. 공간지각력이 부족해 계단이나 좁은 공간에서 걸어다니는데도 어려움을 보이며, 글을 읽지 ...   내용 보기

문자사용이 급증하는 디지털 문화는 또하나의 장벽

Post Image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는 아이들에게 더 많은 텍스트를 사용하게 만든다. 친구와 말보다 문자로 더 많은 대화를 하는 날도 있는 요즘 아이들... 이들에게 문자메시지와 SNS는 새롭지 않은 일상적인 의사소통의 방식이고, 자신에게 맞는 사적인 의미들을 구성하는 학습도구이며, 손쉽게 필요한 질문을 하고 답을 얻어내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습득하는 만능에 가까운 도구가 되었다. 그리고 그 의사소통과 정보습득에 사용되는 미디어의 유형은 말보다 이미지보다 텍...   내용 보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